top of page

Research Part

Digital Healthcare System/ Neural Data Analysis/ Neuromodulation

Digital Healthcare System

​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

​연구파트 상세 소개

생체신호 계측 하드웨어부터 신호 전처리, 건강 지표 알고리즘, 응용 기술까지 아우르는 통합 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합니다

Bio-signal 계측 시스템 개발

  • 계측 상황에 따른 디바이스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회로 설계 및 개발

  • 계측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다양한 요소(신호 종류, 성능, 소모전력 등)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시스템 설계 및 검증

  • 디바이스의 시스템 F/W 를 개발하고 최적화하여 디바이스 기능 설계 및 알고리즘 구현

  • HW 성능 및 신뢰성 검증 방법론 연구 및 프로토콜 설계

Biosignal Data 수집 & Preprocessing

  • 타겟 질환/질병을 예측/분류를 위한 생체신호 측정 프로토콜 설계 및 검토

  • ​다양한 디바이스 기반 Data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/최적화

  • 생체신호에 따른 전처리 기법/방법론 연구

Health Feature Development & Deployment

  • 타겟 질환/건강상태 분석을 위한 생체 지표 알고리즘 및 라이브러리 연구개발

  • 임상시험을 통한 개발 생체지표 검증 및 성능 개선 솔루션 개발

  • 생리학적 가설에 기반한 생리학 및 공학, 다학제 논리를 확보하여 생체지표 성능을 향상

 

Smart Cardiovascular Health Data and Biometric Systems

  •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 심혈관계 관련 건강 지표(혈압, 스트레스, 혈당 등) 예측 및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 연구개발

  • In-silico 모델 기반 심혈관계 시뮬레이션 및  What-if analysis Tool 개발

  • 스마트폰 및 Wearable 생체신호 기반 Application 및 Biometrics 솔루션 개발

Neural Data Analysis 

뇌 영상 및 뇌파 데이터 분석

​연구파트 상세 소개

뇌 영상(MRI, PET) 및 뇌파(EEG)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, 퇴행성 뇌질환의 병태생리 기전을 규명하고,

조기 진단 및 치료 예측을 위한 AI 기반 바이오마커를 개발합니다.

Neuroimaging data processing

  • MRI, PET, fMRI 등 다양한 뇌 영상 데이터의 전처리 및 정량화 기술 개발

  • Cortical thickness, subcortical volume, perfusion, metabolism 등의 신경학적 지표 산출 및 최적화

  • PET/MRI 융합 분석을 통한 다중 모달리티 기반 뇌 기능 및 구조 평가

  • 노이즈 제거, registration, normalization 등 영상 품질 향상을 위한 고급 신호처리 기술 개발 및 자동화

머신러닝 기반 퇴행성 뇌질환 분석 및 subtype 규명

  • 머신러닝 기반 퇴행성 뇌질환의 subtype 분류 및 progression stage 예측

  • 다중 모달리티 뇌영상과 임상지표(인지 기능, 운동 기능 등) 통합 분석을 통한 질병 패턴 규명

  • Subtype 간 병태생리 및 임상적 차이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및 시계열 기반 분석 기법 적용

AI 기반 퇴행성 뇌질환 조기 진단 biomarker 개발

  • 퇴행성 뇌질환 바이오마커 추출을 위한 딥러닝 및 X-AI(설명 가능한 AI) 기술 개발

  • 경도 인지 장애(MCI) 및 초기 치매군에 대한 민감도 높은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및 평가

  • 다양한 임상지표(인지기능, 운동기능, 자율신경지표 등)와 뇌영상 기반 바이오마커 간 상관관계 분석

Neuromodulation

신경 조절 기술

​연구파트 상세 소개

말초신경자극에 따른 생체신호 지표와 질환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신경조절기술 연구를 수행합니다.

말초신경(미주신경, 삼차신경)을 통한 Neuromodulation protocol 개발

  • 말초신경자극을 위한 최적의 자극 protocol 개발

  • 생체신호 기반 말초신경자극에 대한 반응성 분석 및 예측 지표 개발

  • Multiphysics simulation을 이용한 말초신경자극기 설계 및 개발

말초신경자극 기반 질환(불면증, 고혈압 등) 개선 효과 분석

  • 불면증 환자의 수면 품질 개선을 위한 삼차신경자극 기술 개발

  • 고혈압 환자의 혈압 강하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기술 개발

Bio-signal 및 Neuroimaging을 통한 Mechanism of action 규명

  • 생체신호 지표를 통한 미주신경자극의 혈압 조절 기전 규명

  • Neuroimaging 및 생체신호 지표 변화 양상 분석을 통한 삼차신경자극의 신경학적 기전 탐색

  • 호흡패턴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분석을 통한 호흡이 신경자극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규명

133-791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제2 의학관

+82-2-2220-0690

Copyright(c) 한양대학교 스마트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연구실 . All rights are reserved. 이메일무단수집거부

bottom of page